Taninini
[미국 ETFs] JEPI ETF 본문
JEPI ETF 는 JP Morgan에서 최근인 2020년에 상장한 ETF이다.
운용 수수료는 0.35%로 싼 수수료 가격대는 아니다.
하지만 이 ETF가 요근래 각광을 받은이유는 다름아닌
10%대가 넘는 배당률 때문이다.

배당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2020년 부터 주가가 꾸준히 상승해 왔다.
JP Morgan이 이 ETF에 대한 펀드 운용 목적을 적어보면
Designed to provide current income while maintaining prospects for capital appreciation.
(Current income을 창출하는 동시에 펀드의 가치상승을 함께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면은 어떻게 Current income을 창출하냐?
옵션 프리미엄과 보유한 미국주식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을 사용한다고 한다.
또한, 저평가되고 낮은 변동성을 가진 미국주식을 선별해 분산투자를 한다.
정리하자면은 주식연계채권을 통한 안정적인 월배당과
저평가 기업 발굴을 통한 시세차익으로 인해 Income을 발생시킨다는 말이다 !
이 ETF는 SCHD와는 다르게 펀드매니저의 판단과 분석력에 따라 운용되는
액티브(Active) 펀드치고는 운용 수수료는 낮은편이다.

JEPI의 투자전략은 다음과 같다.
펀더멘탈이 강한 기업 + 저평가 기업 + 퀄리티가 높고 + 낮은 변동성
이 기본적인 방식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
하지만.. 배당금이 높은 매력에도 불구하고 이번분기 배당금이 무려 42%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왜 이렇게나 많이 배당금이 하락하였을까..?
먼저, TOP 10 투자종목 중 1위부터 5위까지가 주식연계채권이다.
JEPI가 월 배당률이 높을수 있었던 이유는 이 주식연계채권을 이용한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전략을 활용해서 콜옵션을 매도한 프리미엄이 배당금의 주요한 수입원이다.
이 프리미엄은 시기마다 그때그때 달라지고, 이 전략은 횡보 또는 하락기에
배당금을 많이 줄 수 있는 구조이다.
그렇기에 이번년 들어 좋은 상승을 보여주는 시장같은 경우
JEPI에게는 안좋은 시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얘기하면, 주가가 하락기에는 SCHD보다 주가하락 방어에도 좋고
배당률도 대체로 10% 이상을 보여주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한 것 같다.
큰 변동성을 좋아하지 않고 고배당을 받고 싶은 분들에게 적합한 ETF인 것 같다.
물론, 배당률의 변동성이 큰 것 + 배당성장주가 아니기 때문에 SCHD처럼 들고있는다고
배당률이 점점 늘어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SCHD와 함께 비율을 조절해가며 들고간다면
꽤 괜찮은 ETF라는 생각이 든다 !
나로서는 전체금액중 배당주 ETF에 약 80%을 투자할 생각인데
그 중 SCHD에 80%, JEPI에 20%를 투자할 생각이다.

주가 하락기에 오히려 배당률이 높고 주가 방어도 튼튼한 JEPI ETF
매력적이지 않나요 ~ ?
'미국 ETFs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ETFs] QLD ETF(ft. TQQQ, QQQ ETF) (0) | 2023.07.27 |
---|---|
[미국 ETFs] ARKK ETF (1) | 2023.07.24 |
[미국 ETFs] SKYY ETF(ft. 클라우드) (0) | 2023.07.22 |
[미국 ETFs] SOXL ETF(ft. SOXX ETF) (0) | 2023.07.19 |
[미국 ETFs] SCHD ETF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