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레버리지ETF (10)
Taninini

미국주식 현황 CPI의 발표가 있었다. 생각보다 강한 물가지표 덕분에 이번주 한번 조정이 있었다. 전월대비로도 0.3%나 상승했고 근원CPI 또한 0.4% 상승하였다. ㅠㅠ 물가 상승은 주거비와 의료비 상승이 한몫하며 여전히 비싼 주거비를 보여주었다. 이로인해 5월 금리인하도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생산자 물가지수(PPI) 또한 강한 지표가 나와 주식시장에 좋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미국 경제와 노동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인하 할 생각은 6월이나 이뤄질거라 생각든다. 실적발표가 거의 끝나가며 AI 열풍이 부는 시대 아마존,메타,마이크로소프트는 엄청 높은 성장과 마진을 보여준 반면 애플과 알파벳의 성장은 크지 못하였다. AI 중심의 반도체 회사인 엔비디아와 ARM은 엄청난 성장을 보여주며 여..

미국주식 현황 드디어 밴쿠버에 폭설이 내렸다 하루만에 엄청난 양의 폭설이 내려 동네가 새하얗게 변해버렸다. 비만 보다가 너무 오랜만에 눈이라 정말 신나 동네 공원에서 썰매 열심히 탔다는.. 특별한 경제지표가 없었던 이번주 무슨일이 있었을까 ?! 일단 축하주부터 들자면 드디어 미국주식이 2년만에 신고가를 달성하였다 !! 무려 2년만에 !! 홀딩하고 기다리신 분들 축하드립니다 최근 금리 전망치가 높아지고 있다 3월 금리인하를 예측하는 지표가 80% 에서 40%대로 많이 낮아졌다. 하지만 이런 추세는 결론적으로 경기가 강하고 노동시장이 좋으니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긍정적인 신호라 생각한다. 이번주 역사적인 순위변동이 있었다 만년 2등이였던 마이크로소프트가 드디어 1위 자리로 올라선 것 !! 애플을 제치고 시총 ..

미국주식 현황 2024년의 첫 장 시작주 ! 새해의 첫 스타트는 좋지 못하였다.. ㅠㅠ 3대 지수 모두 큰폭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일단 이번주 특히 기술주의 빅테크들이 많이 떨어졌다. 급격하게 오른만큼 떨어지는 것도 예상은 하였으나 생각보다 급락을 보여주어.. ㄷㄷ;; 애플 또한 목표주가 하향과 더불어 판매량이 저조할 것이라는 기대와 더불어 애플의 주가도 많이 하락하였다. 반도체 또한 ASML이 대 중 수출 금지 되는 등 반도체에 대한 규제가 더 심해지는 거 아니냐는 시장의 반응에 따라 반도체 주식들도 급락을 보여주었다. 급락한 또 한가지 이유는 10년물 국채금리가 슬슬 다시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고용보고서 발표도 있었다. 둔화는 어느정도 있지만 고용이 강하다는걸 보여주어 금리인하의 지연 ..

미국주식 현황 저번주의 상승세와 더불어 이번주도 시장은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번주 가장 중요했던 지표인 11월 PCE 물가지수 연준은 코어 PCE 지수를 2% 목표로 하고 있기에 더욱더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다. (금리의 방향이 이 지표에 따라 결정된다..) 일단은 예측치보다 더 줄었다. 특히 음식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코어 PCE 지표는 예측치보다 0.1%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준이 목표치의 2%에 도달하였다(6개월 연율화) 굉장히 뜻깊은 수치라 할 수 있겟다. 인플레이션이 줄어드는 것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는걸 보아하니.. 슬슬 금리인하가 시작되지 않을까..?! BMO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이보다 더 좋은 선물은 없다. 소비자들은 지출하고 있고, 경제는 일자리를 창출하며 소득을 늘리고..

미국 주식 현황 이번주 증시도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이번주 가장 중요했던 지표는 바로바로 !! CPI 발표가 있었다 !! 전체 CPI(소비자 물가지수)는 유가하락에 힘입어 지난달보다 무려 0.5% 하락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또한, 연준의 물가측정에 핵심이라 할수 있는 근원 CPI는 내리지 않을 것이란 예측을 뒤집고 예측치보다 0.1% 내려온 4.0%를 기록 !! 주거비의 하락이 근원 CPI 하락에 도움이 되었다. 시장은 연말에 금리 동결 확률을 98%로 보고있다. 물론 파월은 그렇게 말하지 않겟지만은... 0ㅅ0 테슬라도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며 이번주에만 약 10% 상승을 보여주었다. 소비자 물가지수가 나왔으면 확인해 볼 생산자 물가지수(PPI) PPI 또한 좋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전체 생산자 물가지..

미국주식 현황 이번주 미국주식은 저번주의 상승장을 이어갔다. 그동안 계속 올라서 골치였던 10년물 국채금리도 4.6%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이다. 시장은 내년 5월부터 금리인하를 예상하고 있는 상태이다. 어느 정도의 경기침체가 시작될 예상치가 포함된 상황이다. 하지만 섣부른 판단은 금물. 파월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하향 압력을 가하고 있지만, 중앙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 옵션을 테이블에 두고 있다" 라고 발언 저번의 비둘기적 발언과는 반대로 한차례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어 시장을 살짝 놀라게 했다. 가상화폐 소식으로는 블랙록이 이더리움이 가상화폐에 대한 승인 신청 소식이 들리며 급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테슬라는 200불 대로 다시 올라와 $215 대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엔비디아 또한 최고점을 ..

SSO ETF 는 S&P500지수를 2배 추종하는 ETF이다. iShares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수수료는 0.91%로 레버지리 상품답게 높은 편이다. 상장월은 2006년으로 오래되었으며 다른 S&P 500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상품들과 비교했을 때 운용자산이 나름 많은 편이다. 그렇다면 레버리지 상품인 만큼 3배짜리도 있을 것인데 무엇이냐 ! 같은 iShares에서 운용하는 UPRO ETF가 있다. 워렌버핏이 했던 말 중 하나인 "내가 죽거든, 내 재산의 90%는 S&P 500 지수에 투자하라" 라고 했듯이 안전한 투자를 좋아하는 나로선 이 ETF는 나에게 잘 맞는 상품인 듯 하다. 물론, 2배 레버리지 상품이라 변동성이 조금은 크기도 하고, 특히 장기투자 관점에서는 폭락장도 맞이할 가능성이 있고 조금..

개인적으로 배당주 빼고 SOXL ETF 다음으로 좋아하는 ETF인 QLD ETF. QLD ETF 는 QQQ ETF(나스다 100 지수)를 기본으로 하여 이 성과를 2배 추종하는 ETF이다. 그렇다면 SOXL 처럼 3배를 추종하는 ETF도 있을것인데 그것은 바로 TQQQ ETF. 레버리지 상품인 만큼 운용 수수료는 0.95%로 높은 편이다.(TQQQ도 같다) 발행기관은 레버리지 상품으로 유명한 ProShares이다. 왜 3배인 TQQQ가 아닌 2배 레버리지인 QLD를 선호하나? 사실, 레버리지 특성상 Buy and Hold 할만한 상품은 아니나, 나스닥 100이라는 지수를 따라가기에 장기투자를 해도 적합해 보였기 때문이다. (하락장에서 꾸준히 줍줍 전략) 하지만, 3배인 TQQQ는 변동성이 너무 크기도 하..